[군사대로]"왜 자꾸 나타나지?"…한반도 '단골' 美정찰기 RC-135
RC-135 시리즈 1960년대부터 활약…美55비행단 소속RC-135V/W 리벳조인트, '신호정보' 전문적으로 수집RC-135S 코브라볼, 탄도 미사일 징후 포착·궤적 추적RC-135U 컴뱃 센트, 전자 정보 수집·적 방공망 분석조인트스타즈, SAR로 지상 전력 동시 600여 개 추적U-2 고고도 정찰기, P-3C 초계기, EP-3E 정찰기 등도최근 이들 미군 특수정찰기의 항적 노출 계속 늘어동창리 미사일 발사장 등 北 군사동향 예의 주시 중
대표적인 미군 전자정찰기 RC-135는 대북 동향을 감시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한반도를 정찰한다. 모델마다 차이는 있지만 한반도에서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군사 동향 등을 추적·감시하는 목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보잉 C-135 수송기를 바탕으로 제작한 RC-135의 역사는 냉전시절인 1960년대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첫 번째 모델이었던 RC-135A는 초대형 카메라를 장착했다. 그러나 지금과 달리 주로 사진 정찰이나 지도 제작을 목적으로 이용됐다. 뒤이어 나온 RC-135B부터 전자정찰 장비를 탑재했고, RC-135C, RC-135D, RC-135E 등으로 후속 모델들이 거듭 개량되면서 현재의 전자정찰기로써 모습을 갖춰갔다. 특히 미 전략공군사령부(SAC) 예하에 있던 RC-135는 냉전시대 소련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실험 동향 등을 탐지했을 뿐 아니라, 1975년 끝난 베트남 전쟁, 1983년 그레나다 침공, 1991년 이라크 바그다드 공습 작전인 '사막의 폭풍'(Desert Storm) 등 미군이 개입한 주요 군사작전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그러다 1992년부터 소속이 미 항공전투사령부(ACC)로 바뀌면서, 미 전략사령부가 위치한 네브레스카주 오펏 공군 기지 내 제55비행단(The 55th Wing)에서 운영을 맡게 된다. 미 55비행단은 현재 RC-135S 3대, RC-135U 2대, RC-135V 8대, RC-135W 9대 등 22대의 RC-135 계열 정찰기를 운용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냉전은 종식됐지만 RC-135 정찰기는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중동과 인도양 등을 포함한 서남 아시아 지역에서 꾸준히 감시 작전을 이어갔고 지금도 활동들이 식별되고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초대형 방사포 발사 등 무력 시위가 이어지면서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활동이 자주 식별되고 관련된 언론 보도 역시 늘고 있다.
리벳 조인트는 신호정보(SIGINT·시긴트)를 전문적으로 수집 및 분석하는 정찰기로, 북한의 미사일 발사 의도나 무력도발 동향을 파악하는 임무 등을 맡고 있다. 한반도 전역의 통신·신호를 감청하고 발신지 추적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개되진 않았지만 조종사, 부조종사, 항법사 등을 포함해 30명 이상이 탑승하며 전자전 및 정보분석 인원이 그중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일본 가데나 주일 미군기지에 배치돼 있는 RC-135S 코브라 볼의 활동도 눈여겨 볼 만하다. 코브라 볼은 계측·기호정보(MASINT·매신트)를 전문적으로 수집·분석하는 정찰기로, 탄도미사일 비행을 관측할 수 있도록 정밀 레이더와 전자광학 장비 등 갖추고 있다. 코브라 볼은 원거리에서도 탄도미사일 발사 징후를 포착하고 미사일 궤적 등을 추적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추적 카메라의 눈부심 현상을 줄이기 위해 오른쪽 날개와 엔진만 검은색으로 도색한 독특한 외형을 가지고 있다.
컴뱃 센트는 지상에서 원격으로 미사일 정보를 측정하는 텔레메트리 장치(원격측정신호장치)의 미세한 전자신호까지 수백㎞ 떨어진 곳에서 탐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적 레이더 전파를 잡아 방공망도 분석할 수 있다. RC-135 외에도 최근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 정찰기 중 하나로 미 공군 지상감시 전략정찰기 E-8C 조인트스타즈(J-STARS)를 꼽을 수 있다. 걸프전, 보스니아 분쟁, 아프간전, 이라크전 등에서 활동한 이력이 있는 조인트스타즈는 기체 아래에 고성능 영상 레이더(SAR)를 설치했다. 이를 통해 250㎞ 이상 거리를 탐지하고 지상 표적 600여 개를 동시에 추적 감시할 수 있으며, 공중과 해상 표적도 탐지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조인트 스타즈는 고도 9~12㎞ 상공에서도 북한군 해안포, 장사정포 진지, 전차부대 상황 등 지상 병력 및 장비 움직임을 정밀하게 탐지 가능하다. 또 공중에서 차량의 형태, 위장막에 가린 무기까지도 파악이 가능하며 포착한 좌표를 아군에 실시간으로 전송해 최단 시간에 타격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최근에 언론에 보도된 U-2S 드레곤레이디 고고도 정찰기는 오래 전부터 한반도 정찰을 담당해왔다. U-2S는 오산 미 공군기지 등에서 자주 목격되기도 했다. 1950년대 개발된 U-2S는 전자광학 및 적외선 정비, SAR 등을 이용해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고도 1만m에서 7m까지 판별할 수 있는 고해상도 카메라로 연속촬영이 가능하며, 글라이더와 같은 외형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U-2S는 고고도 정찰기라는 이름에 걸맞게 적 방공망이나 전투기 요격 등을 피하기 위해 최고 24㎞ 상공(성층권)에서 감시 활동을 한다.
미 해군 EP-3E(에리스) 정찰기도 최근 움직임이 확인된 바 있다. EP-3E는 지상 감시장비와 대잠 정찰장비, 감청 장비 등을 첨단 정찰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하푼 미사일과 MK-50 공중어뢰, MK-60 공중어뢰 등을 탑재할 수 있다. 근래 이들 미군 특수정찰기의 항적 노출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찰기 활동은 군사 작전인 만큼 노출을 최소화하는 게 원칙이지만, 지난주 1~2일 간격으로 하루에 많게는 2대에서 3대까지 미군 정찰기가 식별되고 있다. 이 같은 미군 정찰기의 움직임은 최근 북한 서해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의 움직임 등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우리 군 당국 역시 북한 군사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군의 한 관계자는 "미군 정찰기는 매월 계획에 따라 이뤄진다. 감시와 정찰은 군사작전에서 기본적으로 소화해야 하는 임무"라면서도 "필요에 따라 감시 정찰을 강화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북한 동향에 대해서는 "한미 간에 긴밀한 공조 하에 정찰 및 감시를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