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국제일반

트럼프 "멕시코·캐나다와 3일 대화…EU도 곧 관세"(종합)

등록 2025-02-03 11:43:04   최종수정 2025-02-03 13:58:26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보복관세 가능성에 "게임 한다면 응하겠다"

"모든 국가가 우리 등쳐먹어…도와줘도 감사도 안 해"

associate_pic
[앤드루스공군기지=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 시간) 메릴랜드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 기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2025.02.03.
[서울=뉴시스] 김난영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문제와 관련해 멕시코·캐나다 정상과 대화한다. 차기 관세 표적으로는 재차 유럽연합(EU)을 지목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 시간) 앤드루스 공군 기지에서 기자들과 만나 "내일(3일) 오전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대화할 것이고, 멕시코 쪽과도 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캐나다·멕시코 수입품에 25%, 중국산 제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매기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즉각 보복 관세를 예고했다.

캐나다는 이후 도미닉 르블랑 재무장관 명의로 300억 캐나다달러(약 206억 미국달러)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 목록을 우선 관세 대상으로 공개했다. 세계무역기구(WTO) 제소도 시사했다.

아울러 멕시코에서는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이 이날 영상 성명으로 "내일(3일) 기자회견으로 이른바 '플랜B(대미 보복관세 계획)' 조치에 관해 알릴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셰인바움 대통령은 관세 문제와 관련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대화"라며 실제 관세 부과 전 트럼프 대통령과 협상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간 멕시코·캐나다 관세와 관련해 자국 내 불법 이민 및 펜타닐 등 마약 유입을 명분으로 들었다. 이 때문에 관세가 장기 조치가 아니라 일시적인 '협상용 카드'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만 이날 "아주 극적인 일이 일어나리라 예상하지 않는다. 우리는 관세를 매긴다"라며 "그들은 우리에게 많은 빚을 졌고, 돈을 지불할 것"이라고 발언, 협상을 통한 '막판 봉합'에 거리를 뒀다.

캐나다와 멕시코의 보복 관세에 대응해 관세를 추가로 올릴지 묻는 말에는 "그럴 수 있다"라며 "그들이 뭔가 한다면 우리는 그럴 것"이라고 예고했다.

그는 "캐나다는 많은 해 동안 미국을 매우 모욕적으로 대했다"라며 미국 은행 불허, 에너지와 석유, 농산물 교역 등을 들었다. 반면 "우리는 모든 것을 허용한다"라며 "일방통행"이라고 했다.

나아가 자국이 캐나다에 매년 2000억 달러의 보조금을 준다고 주장한 그는 "나는 캐나다 국민을 사랑하지만, 그 지도부에는 동의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그는 "만약 그들이 게임을 하고자 한다면 나도 꺼리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는 그들이 원하는 모든 게임을 할 수 있다"라고 발언, 강 대 강 관세 대결도 마다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다음 관세 표적을 묻는 말에 "확실히 유럽연합(EU)이라고 말할 수 있다"라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EU를 멕시코·캐나다·중국에 이은 관세 부과 대상으로 지목했었다.

구체적인 관세 부과 시점에는 "타임라인이 있다고 말하지는 않겠다"라면서도 "곧(pretty soon)"이라고 했다. EU가 "정말로 우리에게서 이득을 취해 왔다"라고도 말했다.

그는 "우리는 (EU로부터) 3000억 달러의 (무역) 적자를 본다"라며 "그들은 우리 차를 받지 않고, 우리 농산물을 받지 않는다. 거의 아무것도 안 받는데, 우리는 모든 것을 받아준다"라고 했다.

전방위적 관세 폭탄이 미국 내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두고는 "단기적으로 어느 정도 고통은 있을 것"이라면서도 "사람들은 이해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장기적으로 미국은 그간 사실상 모든 국가로부터 등쳐먹혀 왔다"라며 "우리는 거의 모든 국가에서 (무역) 적자를 보고 있다. 모든 국가는 아니지만 거의 다"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런 상황을 바꿀 것"이라며 "그간은 불공정했다"라고 했다. 이어 "우리는 모두에게서 적자를 보고, 모두를 도왔다"라며 "하지만 솔직히 그들이 감사하는 것 같지 않다"라고 말했다.

자신의 슬로건인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도 거듭 주창했다. 그는 "우리는 우리 국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라며 "우리에게는 막대한 가능성이 있다"라고 말했다.

1차 관세폭탄 대상인 중국도 재차 거론했다. "우리는 중국으로부터 막대한 적자를 본다"라는 것이다. 아울러 EU와 캐나다, 멕시코도 다시 언급한 뒤 "왜 우리가 적자를 봐야 되냐"라고 물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관련기사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