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증권

연내 코스피 4000 도달 관측도[동학개미가 돌아온다②]

등록 2025-07-06 10:00:00   최종수정 2025-07-09 14:38:08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증권가, 코스피 밴드 잇단 상향 조정

외국인 순매수 지속·예탁금도 증가세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배훈식 기자 = 4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가 전 거래일 보다 61.99포인트(1.99%) 내린 3054.28포인트를 나타내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2.60원(0.19%) 오른 1362.00원, 코스닥 지수는 17.53포인트(2.21%) 내린 775.80포인트. 2025.07.0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경택 기자 = 증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번 상법 개정안 통과가 코스피의 상단을 높일 요인이라는 데 의견이 모이고 있다. 코스피 전망치 상향 조정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코스피가 4000포인트에 도달할 것이란 낙관론도 나온다.

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증시 랠리가 이어지면서 주요 증권사들이 코스피 예상 밴드를 일제히 상향 조정하고 있다. KB증권은 향후 12개월 목표치를 3700포인트로 제시했고 NH투자증권, 현대차증권은 각각 3600포인트로 상향 조정했다. 이밖에 신한투자증권은 3분기 상단을 3500포인트로, 삼성증권과 유안타증권은 하반기 상단을 각각 3400포인트, 3300포인트로 올려잡았다.

김병연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투자전략부 이사는 지난달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향후 정부 정책이 예정대로 시행될 경우 코스피는 7월 및 4분기 주요 이벤트를 소화한 뒤 내년 상반기까지 3600포인트로 추가 상승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김재승 현대차증권 연구원도 "하반기 이후 내년에 진입하면서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로 인한 글로벌 유동성, 한국 수출 회복에 따른 코스피 펀더멘털 개선, 달러화 약세와 외국인 순매수, 글로벌 AI(인공지능) 투자 확대에 따른 반도체 수혜와 이재명 정부의 자본시장 활성화 의지 등 다양한 요인들은 코스피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을 높이는 요인"이라고 진단하며 지수의 추가 상승을 점쳤다.

눈높이를 가장 높게 설정한 곳은 하나증권이다. 하나증권은 여전히 낮은 주가수익비율(PER)을 근거로 코스피가 4000선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이경수 하나증권 연구원은 "새로운 정부의 주주환원 기대감,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원화 강세 등으로 글로벌 대비 한국 증시의 최악의 디스카운트가 해소되는 중"이라며 "평균 30% 디스카운트 수준인 주가수익비율(PER) 12.6배, 코스피 4000포인트까지도 회복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외국인 수급에 대한 추가 상승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대선 이후 자본시장 선진화 등 정책 기대에 외국인 매수세가 가파르게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외국인은 대선 한 달 전인 5월부터 순매수세로 전환해 지난 6월 한 달 간 코스피에서 2조6926억원 규모의 순매수세를 나타낸 바 있다.

증시의 대기자금으로 불리는 투자자 예탁금 또한 증가세를 보이며 증시 랠리에 힘을 더하는 모양새다. 투자자 예탁금은 지난 1일 기준 70조4133억원을 기록해 한 달 전보다 10조원 가까이 늘어났다. 예탁금이 70조원을 넘은 것은 지난 2022년 1월 28일(70조3447억원) 이후 3년 5개월 만이다. 증시가 활황을 보이면서 주식 시장에 재차 투자 자금이 모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윤정 LS증권 연구원은 "신정부 출범 후 빠른 상법개정안 처리는 대외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것"이라면서 "국내 자본시장과 기업 지배구조 개선 과제와 관련해 외국인 투자자들로부터 지적 받아온 제도적 인프라의 개선이라는 측면에서 유의미하기 떄문"이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아직 과제로 남은 개정 안건들의 추후 처리 여부와 상법개정 기대감에 선행적으로 오른 금융 및 지주 주가 레벨은 단기적으로 차익실현에 따른 변동성 확대 가능성도 안고 있다"면서도 "다만 대통령실의 정책 시행 스탠스가 차후에도 이어진다면 남은 조항에 대한 공청회에서의 합의 가능성을 열어볼 수 있다. 세법·자본시장법과 같은 제도 개편 논의도 증시 부양에 대한 기대감을 지속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조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관련기사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