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HOME
뉴시스
검색
버튼
커버스토리
시사
정치
사회
국제
기획
경제
라이프
스포츠
문화
연예
맛집
여행
지난호 보기
지난호 닫기
943
시황판도 만산홍엽
942
한미 동맹, 레벨 업
941
끝이 아닌 시작
940
안전을 묻다
939
수술은 성공, 회복은 언제
938
3대 특검 중간 점검
937
단통법 폐지, 득과 실 사이
936
방송3법 논란
935
마약 탐닉
934
집값 안정국민 복지
933
민생 추경
932
AI 에이전트 혁명
931
30조 추경신속 신중
930
모두의 대통령
929
SKT 해킹, 아니까 무서운
928
사우디, 현대차 오아시스 될까
927
진격 中 가전
926
관세전쟁 후폭풍
925
트럼프 100일
924
韓 건설, 기초가 흔들린다
전체보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안내
구독료
구독료
1부
1년 (50부)
비고
3,000원
150,000원
120,000원
(20%할인가)
1년 정기구독자는 구독기간 중 구독료가
인상되더라도 계약기간 만료 시까지
종전 가격으로 구독할 수 있습니다.
납부방법
지로 또는 무통장입금 (온라인 불가)
하나은행 162-910008-18704
㈜뉴시스
입금 전 독자서비스센터로 먼저 연락 바랍니다.
문의처
독자서비스센터
Tel: 02.721.7414
Fax: 02-721-7488
E-Mail:
[email protected]
닫기
기획
"135만호 LH 직접 시행 믿을만"…"2030년 착공은 먼 얘기"
2030년까지 5년간 수도권에서 총 135만호 신규 착공을 이재명 정부 첫 공급 대책이 모습을 드러냈다. 부동산 시장에선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직접 시행 사업 등 공공 주도의 공급뿐 아니라 민간 공급을 늘리는 방안이 함께 나왔어야 한다며 아쉬움을 보였다.
944호 09.08 15:46
재건축 힘 실은 9·7 공급대책, 분당·일산 등 1기 신도시 웃는다
정부가 9·7 주택공급 대책을 통해 경기도 분당, 일산 등 1기 신도시 정비사업을 선도지구 공모가 아닌 주민제안 방식을 전면 도입하겠다고 밝히면서 1기 신도시가 반색하는 분위기다. 특히 이재명 정부의 첫 공급대책이 공공 주도 정책인 데 반해 1기 신도시 재건축은
944호 09.08 14:47
李 정부 첫 주택공급 '공공주도·속도전'…당장 급한 불 끄기 '역부족'[9·7 주택공급 확대]
이재명 정부의 첫 주택공급 확대 방안의 핵심은 '공공주도'와 '속도전'이다. 수도권 주택공급 물량을 대폭 확대하고, 공급 속도를 높여 주택공급 부족에 따른 우려를 불식시키고 집값 안정화를 꾀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단순한 '인허가' 물량이 아닌 실제 입주와 연관
944호 09.07 19:03
"부채 160조 넘는데"…LH, 공공택지 매각 대신 직접 시행 실효성 '의문'[9·7 주택공급 확대]
정부가 주택공급 확대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택지 조성부터 분양까지 주택 시행 전 과정을 맡기고, 민간 건설사가 시공만 하도록 사업구조를 개편하기로 밝힌 가운데 시장에선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가뜩이나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LH
944호 09.07 16:46
2030년까지 수도권 135만호 착공…연평균 27만호 공급[9·7 주택공급 확대]'(종합)
정부가 2030년까지 수도권에 135만호를 신규 착공하는 공급대책을 발표했다. 연평균 27만호가 착공될 계획이며 정부는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공공청사와 유휴부지 등을 활용한다. 이번 대책은 6·27 대책 시행 두 달여 만으로 최근 금리 인하와 집값 상승 기대감으로
944호 09.07 16:32
6.27 추가대책 나왔다…규제지역 LTV 강화·전세대출 억제(종합)
규제지역 내 가계대출 주택담보대출 담보인정비율(LTV) 상한이 기존 50%에서 40%로 강화된다. 1주택자에 대한 수도권 전세대출 한도는 2억원으로 일원화된다. 정부는 7일 오후 2시 부동산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주택공급 확대방안을 발표했으며, 금융위는 이날 오후 4
944호 09.07 16:30
삼성·SK하닉, HBM 이외 분야도 협력 노린다[엔비디아 新경쟁③]
"HBM(고대역폭 메모리)은 낮은 전력으로 엄청나게 빠른 성능을 낸다. 생성형 AI(인공지능)로 데이터센터는 이런 고성능 메모리가 더 많이 필요하게 됐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최고경영자)는 지난해 3월 열린 연례 개발자 행사인 'GTC 2024'를 통해 "
943호 08.30 10:02
'외교전' 이재용·최태원…HBM4 경쟁구도 주목[엔비디아 新경쟁②]
"엔비디아의 슈퍼컴퓨터에 최적화된 반도체 칩을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제공하는 데 대한 논의가 있었다."(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이재명 대통령의 첫 미국 방문에 맞춰 개최된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이재용 삼성전자
943호 08.30 10:01
SK하닉 독주·삼성 추격, 韓 메모리 현주소는?[엔비디아 新경쟁①]
'탈(脫) 엔비디아', '엔비디아 대항마' 엔비디아가 인공지능(AI) 시장을 장악하자 전세계에서 첨단 기술력을 갖췄다는 기업들은 일제히 '엔비디아 잡기'에 몰두해왔다. 하지만 엔비디아는 압도적인 기술력으로 여전히 AI 칩 시장 점유율 80%에 이르는 우위를 지키고
943호 08.30 10:00
[2025 뉴시스 한류엑스포] 아이유·이정재·CJ올리브영·무신사, 한류 이끈 주역
'뉴시스 한류엑스포'가 성황리에 일곱 번째 막을 내렸다. K-드라마, K-팝 등 한류를 빛낸 톱스타들과 문화산업에 종사하는 이들을 든든히 지원해주는 정부·서울시의 주요 인사들이 한자리에 모여 '한류의 미래'를 밝힌 뜻 깊은 자리였다. 28일 오후 서울 소공동 롯
943호 08.28 20:12
1
2
3
4
다음
마지막
가장 많이 본 기사
"내 예금, 진짜 1억까지 지켜주나요?"[금알못]
"현금 부자가 이렇게 많나"…대출 규제 후 거래절벽에도 신고가 속출[초양극화 가속]①
잠자는 DC형 퇴직연금 깨우려면[금알못]
IRP 수수료, 이제 은행들도 안 받는대요[금알못]
"먹먹하고 삑소리"…골든타임 놓치면 청력잃는 '이 질환'[몸의경고]
아침에 걷기 힘들어 하는 아이…꽤병 아닌 '이 질환' 의심[몸의경고]
시황판도 만산홍엽
화제작 '일무' 연출 정구호 "전통을 현대적 언어로…난 헤리티지 만드는 사람"[문화人터뷰]
대체 불가 '오리지널'의 힘…'노트르담 드 파리'가 남긴 강렬한 울림[객석에서]
시장 감시기능 강화…한국판 SEC 띄우나[금융감독체계 후폭풍①]
최신 포커스
KT 유령 기지국에 1.7억 털렸다
최신 칼럼
>
아니, 이건 우리의 이야기야 '3670'
>
이브는 물불 가리지 않아…영화 '발레리나'
>
너무 안전한 즐거움 '전지적 독자 시점'
더보기